Office 365 5

[Excel] 참조연산자 및 기호(1)

엑셀 함수를 다루게 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참조연산자이다. 참조연산자가 무엇인가 하면.... 셀을 참조하기 위한 연산자라는 것인데, 콜론( : ), 쉼표( , ), 달러( $ ), 느낌표( ! ), 공백( )이 있다. 엑셀을 좀 다뤄본 사람은 달러나 느낌표까지는 알고 있을 수 있지만, 공백의 경우는 저런게 있었나? 싶을 것 같다. 1. 콜론 콜론은 셀의 범위를 나타낸다. 위와 같은 셀의 범위를 지정할 때는 A1:D4로 나타낸다. 2. 쉼표 쉼표는 인수 간을 구분할 때 사용한다. 위와 같이 개별로 있는 셀의 범위를 지정할 때 사용하며, 예시의 경우 A1,B3,C4로 나타낸다. 3. 느낌표 느낌표는 시트를 참조할 때 사용한다. Sheet2!A1:D4 이런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Sheet2의 A..

Excel/함수 2021.09.20

[Excel] 셀 범위 지정

1. 마우스 범위지정이야 당연히 마우스 좌클릭 드래그 엔 드롭으로 할 수 있다. 이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엑셀을 처음 만지게 되더라도 본능적으로 알 수 있다. B3 부터 E6까지 마우스로 범위 설정을 해보았다. 같은 범위이지만 E6 부터 B3까지 마우스로 범위 설정을 해보았다. 차이점으로는 시작지점이 어디인지 보여주고 이름상자에 시작 위치의 셀 주소가 표시된다는 점이다. 저 상태에서 각각 문자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에 위와 같이, 이런식으로 차이가 있다. 크게 중요한 차이는 아니므로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면 될 듯하다. 다음으로는 행, 열 전체 선택 방법인데, 위와 같이 B 열을 클릭한채로 F까지 드래그 엔 드롭하면 B~F 열 전체가 선택된다. (키보드로는 아무 행(숫자)에서 B부터 F까..

Excel/기본 2021.09.15

[Excel] 셀 이동과 방향키 활용

엑셀로 문서 작업 중 다양한 방법으로 셀을 이동할 텐데 주로 쓰는 방법은 역시 방향키 일 것이다. 1. 방향키 이동 기준에서 상 하 좌 우를 방향키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Ctrl 키와의 조합인데, Ctrl+방향키를 입력하면 그 쪽 방향에 있는 셀 중 데이터가 입력된 가장 가까운 셀로 이동하게 된다. 또는, 데이터가 연속으로 입력된 곳일 경우 데이터가 끝나는 셀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1에서 Ctrl+→를 눌리면 4로 이동하게되고, 4에서 다시 Ctrl+→를 눌리면 5로 이동하게 된다. 1에서 Ctrl+↓를 눌리면 17로 이동하게되고, 12에서 Ctrl+→를 눌리면 13으로 이동하게 된다. 주황색 셀에서 Ctrl+→를 눌리면 22로 이동하게 된다. 데이터의 끝에서 아무런 데이터가 없는 방향으로..

Excel/기본 2021.09.14

[Excel] 셀 주소 및 셀 개수

엑셀에서 표 한칸 한칸을 셀이라고 부른다. 그 셀은 각자 고유한 주소를 갖게되고 가로줄은 A, B, C.... 와 같이 알파벳으로 세로줄은 1, 2, 3...과 같이 숫자로 주소를 부여 받는다. 참고로 가로의 경우 Z이후로는 AA, AB... AZ, BA, BB, BC ... 이런식으로 늘어난다. 위의 빨간 박스가 셀 주소 입력창이고, 저기에 셀 주소를 입력해서 해당 셀을 찾아갈 수도있다. Office 365에서의 저 창 정식명칭은 "이름 상자"이다. 여튼 위와 같이 가로, 세로 첫칸은 A1으로 주소를 부여 받게되고, 엑셀의 각 버전 마다 다르지만 파일 확장자가 .xlsx로 부여받는 Excel 2007 이후 버전부터는 가로줄의 끝은 XFD로 16384개 (A-Z가 26개, AA-ZZ가 676개, AAA-..

Excel/기본 2021.09.11

엑셀을 사용하는 이유

엑셀은 한글이나 word와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졌다. 단순하게 한글에서 제공하는 표를 여러개 이어 붙인걸로 보기엔 엑셀은 너무나도 많은 기능을 갖는다. 물론 한글에서도 표에서 계산식 기능을 갖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꽤 다양한 함수를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SUM(LEFT)을 넣고 돌리면 이렇게 옆줄의 합이 나온다. 엑셀과 같이 셀 주소인 SUM(A1:D1)을 넣어도 해당 값이 나온다. 하지만, 엑셀과 같은 스프레드 시트 프로그램은 한글의 표를 단순히 많이 이어놓은 것으로 볼 수 없다. 한글에서 제공하는 함수는 엑셀에서 제공하는 정말 기본적인 것에 불과하다. 엑셀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수한 기능을 갖는다. 단순 함수의 갯수만 봐도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인간이 도구를 잘 사용하면 ..

Excel 2021.09.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