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cel/함수 20

[Excel] 날짜 표기 방법 및 날짜관련 함수(2)

직전의 날짜 표기 방법 및 날짜관련 함수(1) 글에 이어서, https://nationwide.tistory.com/22 위의 화면에서 날짜에 대한 항목을 제외하고 다른 항목을 보면.. "44469" 와 관련된 것을 볼 수 있다. 왜 "44469"일까..? 정답은.. 엑셀에서 숫자와 날짜는 서로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단 저기서 [표시 형식]을 [숫자]로 해보았다. 수식입력줄을 포함하여 셀에 보여지는 값도 44469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그럼 반대로.. 숫자를 날짜로 바꿔보면? 일단 1을 입력해보자. 그리고 이 녀석을 [날짜]로 바꿔주면? 1900년 1월 1일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담.. 여기에 1을 더해준다면? 1월 2일로 넘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시 이걸 [표시 형식]을 "날..

Excel/함수 2021.10.06

[Excel] 날짜 표기 방법 및 날짜관련 함수(1)

엑셀에서 날짜 형식은 여러가지가 있다. 대표적인게 yyyy-mm-dd이며 이것이 엑셀에서 날짜를 입력하는 기본 방식이다. yyyy는 년도를 4자리로 표시 mm은 월을 2자리로 표시 dd는 일을 2자리로 표시하는 것이다. 2021년 9월 30일이라면 2021-09-30으로 표시되는 형식이다. 기본적으로 yyyy-mm-dd 방식으로 셀에다가 입력하면, 위와 같이 [홈] - [표시 형식]에서 "일반"으로 되어 있던 것이 "날짜"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2021년 9월 30일 이라고 입력한다면? 위와 같이 "사용자 지정"으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어쨌건 날짜로 인식했다는 것이다. 위의 셀 입력창에는 자동적으로 2021-09-30으로 입력되었다.) 날짜 입력 방식에는 저렇게 다양한 방식..

Excel/함수 2021.10.05

[Excel][함수] SUMIF

SUMIF 함수는 SUM과 IF를 결합한 함수이다. 특정 조건(IF)일 때의 값들을 모두 더하라(SUM)라는 의미이다. 위와 같이, 함수 마법사에도 "주어진 조건에 의해 지정된 셀들의 합을 구합니다." 라고 되어있다. 함수 인수의 구성은 =SUMIF(range,criteria,[sum_range])로 되어있다. 여기서 range는 조건에 맞는지 검사하고 더할 셀의 범위이고, criteria는 더할 셀의 조건이다. 즉, IF 함수에서 제일 첫번째 인수와 비슷하다. SUMIF에서 criteria 인수는 위와 같이 수, 식에 더하여 텍스트까지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잠시 후 이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sum_range]는 대괄호로 표현했는데 합을 구할 실제 셀들이며, 생략하면 자동적으로 range의 ..

Excel/함수 2021.09.29

[Excel][함수] 논리 연산자와 논리 함수(3)

6. IF - 논리 검사를 수행하여 TRUE나 FALSE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합니다. IF 함수는 위와 같이.. =IF(Logical_test,Value_if_true,Value_if_false) 이렇게 구성된다. 즉.. =IF(논리,TRUE반환값,FALSE반환값) 이런 형식으로.. 논리가 맞으면 TRUE반환값에 해당하는.. 논리가 틀리면 FALSE반환값에 해당하는 값을 돌려준다. 예를 들어, 논리가 A1>B1이고 맞으면 D1을, 틀리면 D2를 돌려주는 함수식으로 =IF(A1>B1,D1,D2)를 만들었다. 이런 식으로 D1의 셀 값인 "A가 크다."가 반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에 A1>B1이 틀리다면 "B가 크다."가 반환될 것이다. (A1와 B1이 같은 값일 경우에도) 7. IFERROR - 식..

Excel/함수 2021.09.27

[Excel][함수] 논리 연산자와 논리 함수(2)

3. TRUE - 논리값 TRUE를 돌려줍니다. 4. FALSE - 논리값 FALSE를 돌려줍니다. 앞에서 설명했던 함수 AND나 OR에서 조건에 따라 TRUE나 FALSE가 반환되었다. TRUE와 FALSE 함수는 조건 없이 그냥 TRUE는 논리값 TRUE를, FALSE는 논리값 FALSE를 반환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냥 타이핑한 TRUE와 FALSE와는 다른 것이다. 함수로써 사용하는 방법은 =TRUE() =FALSE()이며, 함수 마법사 상에서 입력할 경우 이렇게 인수가 필요 없다는 메세지 창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셀 상에서는 각각 TRUE, FALSE로 보여진다. 5. NOT - TRUE 식에는 FALSE를, FALSE 식에는 TRUE를 돌려줍니다. NOT은 앞의 논리값들을 반대로 바꿔준..

Excel/함수 2021.09.24

[Excel][함수] SUM

SUM 함수는 엑셀을 배우게되면 가장 처음 배우는 함수이기도 하고, 정말 자주 사용하는 함수가 아닐까 싶다. 특히 엑셀로 금액 관리를 할 때 총 합계를 구하는 경우 많이 쓰인다.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SUM(범위)와 같이 셀에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수식]-[함수삽입]을 눌리거나 수식입력줄의 fx를 눌려서 할 수 있다. 눌려보면 이렇게 함수 마법사가 나오고.. 범주 선택(C)에서 수학/삼각 탭에 가서 SUM을 찾아서 클릭해도 되고, 함수 검색(S)에서 SUM을 검색해서 넣어도 된다. SUM을 더블클릭 하면 위와 같이 함수 인수 창을 볼 수 있고 Number 란에 함수 SUM에 적용 하고 싶은 인수들을 채워 넣으면 된다. 이렇게 직접 마우스로 드레그 해서 범위를 지정해도 되고, A1:B3과 같..

Excel/함수 2021.09.22

[Excel] 참조연산자 및 기호(2)

5. 달러 달러는 엑셀의 참조 중 절대참조를 하기 위함이다. 엑셀은 기본적으로 상대참조를 하게 되는데, 함수 등의 수식을 사용할 때 절대참조가 필요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위와 같이 원가에 할인가를 일괄적으로 계산을 하고 싶은 경우에, (80% 할인이라 하면 원래는 원가의 20%지만.. 그냥 예시이므로 수식의 편의를 위해 원가의 80%로 할인 한다고 합시다.) A2와 E1을 곱하게 되는데 저 상태 그대로 데이터 채우기를 사용하면 *데이터 채우기 이전 글* https://nationwide.tistory.com/8 https://nationwide.tistory.com/9 E의 행 숫자도 같이 늘어나게되어 A6과 E5를 곱하게 된다. 즉, 원래 값에 대해 상대적으로 참조가 되어서 위의 결과가 나온 것이..

Excel/함수 2021.09.21

[Excel] 참조연산자 및 기호(1)

엑셀 함수를 다루게 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참조연산자이다. 참조연산자가 무엇인가 하면.... 셀을 참조하기 위한 연산자라는 것인데, 콜론( : ), 쉼표( , ), 달러( $ ), 느낌표( ! ), 공백( )이 있다. 엑셀을 좀 다뤄본 사람은 달러나 느낌표까지는 알고 있을 수 있지만, 공백의 경우는 저런게 있었나? 싶을 것 같다. 1. 콜론 콜론은 셀의 범위를 나타낸다. 위와 같은 셀의 범위를 지정할 때는 A1:D4로 나타낸다. 2. 쉼표 쉼표는 인수 간을 구분할 때 사용한다. 위와 같이 개별로 있는 셀의 범위를 지정할 때 사용하며, 예시의 경우 A1,B3,C4로 나타낸다. 3. 느낌표 느낌표는 시트를 참조할 때 사용한다. Sheet2!A1:D4 이런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Sheet2의 A..

Excel/함수 2021.09.20

[Excel] 산술연산자 및 기호

엑셀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산술연산자와 그 기호는 +, -, *, /, ^, %, =, ()가 있다. 더하기(+) : 사칙연산의 더하기 빼기(-) : 사칙연산의 빼기 곱하기(*) : 사칙연산의 곱하기 나누기(/) : 사칙연산의 나누기 거듭제곱(^) : 수학에서 말하는 지수승, 거듭제곱 (ex) 2^4=2x2x2x2) 퍼센트(%) : 99%, 100%할때의 그 퍼센트. 수에다 0.01을 곱한 것과 같다. 등호(=) : 수식을 입력할때 가장 앞에 써주는 기호. 셀 내용의 시작으로 입력하면 "해당 셀은 함수를 쓴다~"하고 함수의 시작을 알린다고 볼 수 있음. 소괄호( () ) : 수학에서와 같이 사칙연산 등의 연산에서 우선순위를 정해줌. 열린 괄호 "("가 있으면, 닫힌괄호 ")" 가 반드시 있어야 ..

Excel/함수 2021.09.19
반응형